로드나인 매크로
히말라야 랑탕 리룽산 등정에 도전한 방송인 노홍철이 고산병으로 실신했다.
노홍철은 23일 유튜브를 통해 히말라야 등반기를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에서 노홍철은 등산 이틀여 만에 고산병으로 쓰러졌다. 졸림, 코피 등 증상을 호소하더니 급기야 쓰러져 베이스캠프로 이송됐다. 베이스캠프에서 산소 포화도를 측정한 노홍철은 거동이 어려워 보였으며, 눈조차 뜨지 못했다.
노홍철은 5시간 만에 잠시 정신을 차렸다. 그는 "제가 잠시 정신을 잃었다. 아침에 일어나 걸었는데 급격하게 컨디션이 안 좋아졌다. 뭘 자꾸 먹었더니 배 안에서 어마어마한 부글거림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숙소까지 2.9㎞가 남은 지점이었는데 기억이 없다. 정신이 계속 나가있고 희미했다. 이후 황급히 침대로 실려왔다"며 "누군가 와서 제 전신을 주물러주고 걱정하며 제 상태를 체크했다"고 떠올렸다.
고산병 증상은 이튿날 다시 나타났다. 노홍철은 정상까지 4㎞밖에 안 남았다며 등산을 재개했지만, 혈액순환이 안 돼 손이 하얗게 변했다. 등산이 어렵다고 판단한 그는 결국 말을 타고 하산했다.
노홍철은 "너무 신기하다. 저 위에서는 제정신이 아니었는데, 고도가 낮아질수록 속도 좋아지는 것 같고 몸이 돌아오고 있다. 아까 묵은 숙소보다 더 내려가면 몸이 좋아진다고 해 한 300m정도 더 내려왔다"고 밝혔다.
노홍철과 히말라야에 동행한 배우 이시영과 가수 권은비는 등정에 성공했다.
이시영은 정상에서 촬영한 영상을 노홍철에게 보여주며 "나도 가다가 고산병이 와서 엎드려서 울었다. 어떻게 올라갔는지 기억이 안 난다. 중간에 흙바닥에 누워 가이드들한테 먼저 올라가라고 했다. 가이드가 거의 끌고 올라갔다"고 했다.
고산병은 대개 해발 3000m 이상에서 나타난다. 산소 부족이 주 원인이다. 해발 고도가 높아져 산소가 부족해지면 저(低)산소증이 생기는데 고산병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일종의 생체리듬 혼란 증후군이다.
고산지대는 저지대보다 산소량이 적고 건조하다. 따라서 숨쉴 때 산소를 덜 들이마시게 되고 호흡량이 늘어난다.
이는 폐를 통한 탈수를 유발하고, 결국 혈액 점성을 높인다. 끈적끈적해진 혈액은 산소를 신체 곳곳에 잘 전달하지 못해 두통·구토·무기력·호흡곤란·식욕부진·기침·수면 장애 등 증상을 유발한다.
심한 경우 뇌수종(腦水腫)·폐수종 등으로 숨지기도 한다. 뇌수종이 발생하면 의식이 떨어지고 12시간 안에 치료하지 않으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고산병 예방·치료 전문 의약품은 없다. 고산 적응을 위해 등반 2~3일 전에 이뇨제인 다이아목스나 스테로이드제인 덱사메타손 등을 복용하기도 한다. 히말라야구조협회 의료 진료실은 다이아목스를 아침과 저녁에 125㎎씩 복용하도록 추천한다.